PORTFOLIO

공간에 가치를 더하다

OFFICE[OVER THE LAYERS]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건축설계 I 시공

OVER THE LAYE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SITE가 위치한 블럭에는 도산대로, 을지병원사거리, 학동역 등의 교통시설과 건설회관, 서울본부세관 같 은 고층빌딩들이 위치한다.
강남, 아니 서울 대부분의 SITE는 이런식의 컨텍스트로 둘러 쌓여있다.
열대 우림의 빌딩숲과 거미줄 같은 교통망은 언제부터인가 지향해야 할 컨텍스트가 아니라 지양해야 할 벽과 장애물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결국 외부 환경과의 연결보다는 건축물 자체의 치장과 내부 환경에 대한 계획이 해법이 되었다.

The project is located in the core of Gangnam district in Seoul.
The site is surrounded by the contexts of major roads, public transportation and institutional buildings.
The most of site conditions in Gangnam or Seoul are intermingled by various urban infrastructure.
These complex urban fabrics of buildings and traffic networks became obstacles to avoid, rather than preferable conditions to take an advantage.
Instead of creating contextual relationships with the adjacencies, we found solutions from within the building itself by designing internal environment.


위          치 : 서울 강남구 논현동

대 지 면 적 : 363.20m2

건 축 면 적 :  205.90m2

연   면   적 : 922.81m2

규          모 : 지하1층 - 지상 5층





계획 초기에는 대지가 동서로 긴 탓에 일조권 제한을 장애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일조권 사선으로 일정 거리 이상 물러나야 했던 법적 최소 공간을
오히려 최대 공간으로 내어주며 그사이에 켜(Layer) 를 겹겹이 쌓았다.
세로로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눌 기준벽들이 교집합적 공간을 만들고 가로 로는 각 층의 외부공간들이 각기 다른 방향의 풍경을 실내로 끌어들인다.

Since the site is elongated along East-West, there was a site constraint of sunlight right. To satisfy the right of light, the building needed to set back the certain amount of spaces diagonally. Instead of approaching from the typical design solution, the building set back the maximum spaces and created the layers in between these set-backs. Vertically, the layers divide inside and outside spaces while creating intersecting space. Horizontally, each floor is designed to have different views to provide different qualities scenic views on the every level.









얼핏 전층이 유사해 보이는 공간을 가져서 골조공사에 효율적이라 생각하지만, 각 층마다 다른 방향 의 외부공간들이 있어서 생각만큼 빠르게 진행되지는 못했다. 외장 마감재로 쓰인 석재타일과 아노다 이징패널은 처음 써보는 자재였던 만큼 시공디테일 회의만 수 번을 가진 후에야 진행할 수 있었다. 또 한 인접한 대지에 골목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카페와 디저트가게 등이 위치 해 있어서 소음과 먼지 관련 민원이 적지 않았다.
Since the entire floor might look uniform, it can be perceived as a simple frame construction. However, by having different views on each floor, the construction became complicated. There were a lot of technical difficulties to apply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of stone tiles and anodizing panels. Prior to any proceedings, we worked with the engineers to make sure every details for the material appli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omplaints related to noise and dust as single & multi-family houses, cafes and dessert shops were adjacent to the site.



정면 테라스에 위치한 메탈 페브릭이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며 테라스를 이용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안정감을 갖게 한다. 반면 외부 계단과 선큰 공간에서는 거리에서 시선과 호기심을 끌어들이면서 내부 에서는 맴도는 공간감을 가진다. 두 가지 요소 모두 외부에는 흥미로운 치장요소를 주는 동시에 내부 에서는 프라이버시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The metal mesh on the front terrace blocks views from the outside, and provides a sense of comfort for people inside of the terrace. On the other hand, outside stairs and sunken spaces attract attention and curiosity from the streets, and have a sense of space that lingers inside. Both elements serve as an interesting design element from outside while providing privacy and a pleasant environment from the inside.




계획 초기에는 대지가 동서로 긴 탓에 일조권 제한을 장애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일조권 사선으로 일정 거리 이상 물러나야 했던 법적 최소 공간을 오히려 최대 공간으로 내어주며 그사이에 켜(Layer) 를 겹겹이 쌓았다. 세로로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눌 기준벽들이 교집합적 공간을 만들고 가로 로는 각 층의 외부공간들이 각기 다른 방향의 풍경을 실내로 끌어들인다.

Since the site is elongated along East-West, there was a site constraint of sunlight right. To satisfy the right of light, the building needed to set back the certain amount of spaces diagonally. Instead of approaching from the typical design solution, the building set back the maximum spaces and created the layers in between these set-backs. Vertically, the layers divide inside and outside spaces while creating intersecting space. Horizontally, each floor is designed to have different views to provide different qualities scenic views on the every level.






T. 02-6221-5622  I  F. 02-6404-5622  I  E. master@a-dus.co.kr  I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167 2F  I  사업자등록번호 261-81-10096

A'DUS [Architectural Designer Cluster] 에이더스 전문건설  I  A'DUS E&C [Engineering & Construction] 에이더스 종합건설  I  A'DUS Architects & Planners 에이더스 종합건축사사무소


Copyright ⓒ A'DUS. All Rights Reserved.

T. 02-6221-5622  I  F. 02-6404-5622  I  E. master@a-dus.co.kr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167 2F
사업자등록번호 261-81-10096


A'DUS [Architectural Designer Cluster] 에이더스 전문건설
A'DUS E&C [Engineering & Construction] 에이더스 종합건설
A'DUS Architects & Planners 에이더스 종합건축사사무소


Copyright ⓒ A'DUS. All Rights Reserved.